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치솟는 물가상승의 원인과 기준금리를 올린 이유는??

by 9시블로거 2022. 8. 16.

안녕하세요 9시블로거 입니다!!

요새 자고 일어나면 치솟는 물가 때문에 걱정이 많으실 텐데요

물가만 오르는 게 아니고 기준금리도 올라서 다들 많이 힘드실 거예요 

대체 이 치솟는 물가상승의 원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이렇게 힘든 상황에 기준금리는 왜 올린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인플레이션이란 물가상승을 뜻하는데요 말 그대로 물가가 상승하는 걸 뜻합니다 정확하게 어느 정도로

오른다 라는 기준은 없지만 지속적으로 물가 상승할 때 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인플레이션의 반대는 디플레이션이라 하며 물가 하락을 뜻합니다 

이러한 인플레이션 현상으로 인해  자국의 화폐가치가 하락하며 화폐가치가 하락하여 다들 근로의욕이

떨어지고 근로보다 투기, 투자 등에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또한 수출이 줄어들게 되고 수입이 늘어나게 됩니다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의 이유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의 이유는 다양한 이유가 있습니다

1. 많은 통화량

통화량이 많다는 것은 화폐가치가 떨어진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1000원 하던 빵이 이제 통화량이 많아져 너나 할 거

없이 모두 구매하다 보면 판매자는 가격을 1,500원  2,000원으로 올릴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상대적으로 화폐가치가

하락하게 됩니다

더 현실적으로 예를 들자면 코로나로 인하여 재난지원금을 국민들에게 주었을 때 통화량이 많아지게 되고 그로

인한 결과가 물가상승으로 다가오게 된 겁니다

 

2.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전쟁을 하게 되면서 두 나라가 수출에 타격을 입게 되고 러시아의 천연자원과 우크라이나의

농산물 그리고 석유 가격까지 연쇄효과로 가격이 오르다 보니 자연스럽게 이를 필요로 하는 다른 국가의 물가도

상승하게 됩니다

 

3. 세계 각국의 식량난 그리고 기후 문제

세계가 지금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기후 변화가 생기고 인도 같은 경우 폭염과 가뭄으로 인하여 밀 생산이 1/3로 줄었으며

식량난 문제로 인하여  수출 금지를 시켰고, 우리나라 같은 경우만 해도 이번 홍수피해로 인하여 농작물들이 다 죽게

되면서 이러한 효과가 물가상승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금리 상승의 이유

금리상승의 이유는 위의 이유들로 인하여 치솟는 물가를 금리가 따라가지 못하면 화폐가치는 더 떨어질 

것이므로 결국 물가상승을 잡기 위하여 금리를 올리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은행에 10,000원을 2% 이율로 대출받았다면 이자는 200원이지만 10,000원을 10% 이율로 대출을

받았다면 1,000원의 이자가 됩니다. 같은 대출을 받았어도 이제 내야 하는 이자가 높아졌다는 것은

낮아진 화폐가치가 금리인상을 통해 상승하게 된 걸 의미하게 됩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제상황

우리나라의 경제상황을 글로 한 번에 표현하기 힘들지만

지금 우리나라는 <경기침체+인플레이션(물가상승)>을 뜻하는 <<스테그플레이션>> 상황에 놓여있습니다

이러한 스테그플레이션은 경기를 잡기 위하여 통화량을 풀면 물가가 상승하고,물가를 잡기위하여 금리를 

인상하면 경기침체가 더욱 악화되고 풀어나가기 어려운데요. 우리나라는 너무나도 오르는 물가를 잡기 

위하여 일단 금리인상의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오늘은 물가상승의 원인과 금리 상승의 이유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요 진짜 지금 우리나라 상황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 같습니다. 힘든 경기침체 상황이지만 다들 힘내서 버텨보아요!!

감사합니다~~!

댓글